배터리 분리막을 통해 캐소드와 애노드를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리튬 이온을 흐르게 하여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막 재료 선택은 특히 고온에서 배터리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폴리에틸렌(PE)은 고온에서 연화되어 공극을 수축시키고 Li+ 이온의 흐름을 방해하고 열폭주를 방지하는 일반적인 분리막 재료이다.
연구원과 엔지니어는 열 분석을 통해 용융, 분해 또는 취성화에 내성이 있는 분리막을 개발하는 한편, 분리막의 열폭주 차단 능력을 조사할 수 있다. TMA(Thermal Mechanical Analysis, 열 기계 분석)는 분리막이 녹지 않고 안전하게 차단되는지 확인한다.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동적 기계 분석)는 극한의 온도에서 분리막의 기계적 안정성과 수명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는 분리막의 상전이를 측정하는 반면,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중량 분석)는 열 안정성을 측정하고 조성 결정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술을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사용 조건에서 분리막의 품질과 거동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계측기 및 테스트 매개 변수

재료: 폴리머 막

재료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다층 분리막, 세라믹 코팅 분리막

DSC beauty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 품질 관리
    • 용융 온도(Tm)
    • 용융열
    • 유리 전이(Tg)
  • 상전이

열기계 분석

  • 기계적 안정성
    • 열팽창 및 수축
  • 분리막 안전성
    • 멜트다운 온도
load frame beauty

기계적 테스트 로드 프레임

재료 강성

  • 영률, 항복 강도, 극한 강도, 파단 연신율
  • 강도 vs 온도

 

열중량 분석

  • 열 안정성
    • 분해 온도
  • 조성 확인
    • 유기물 함량
    • 무기물 함량(잔류물)
    • 분해 산물

 

DMA beauty

동적 기계 분석

  • 안전성 및 수명
    • 저장 탄성률
    • 유리 전이(Tg)
  • 배치 간 반복성
    • 유리 전이(Tg)
    •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Tanδ
  • 기계적 이방성의 특성화
    •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Tanδ

 

응용 사례

배향 효과를 식별하기 위한 배터리 분리막의 TMA 열팽창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투과성 미세 다공성 막인 분리막은 두 전극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여 단락을 방지하되 배터리의 기능에 필수적인 리튬 이온 전달을 허용하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Discovery TMA 450은 치수 변화와 분리막의 잠재적 파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치수 변화 측정 감도가 높아 다양한 분리막 방향으로 열팽창과 열수축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샘플을 24mm 길이와 2mm의 균일한 너비로 절단하고 필름과 섬유 프로브에 로딩했다. 질소 퍼지 상태에서 온도가 -70˚C에서 200˚C로 3˚C/분의 속도로 상승했다.

결론:

TMA 450은 분리막의 열팽창을 측정하고 X 및 Y 방향에서 모두 배향 효과를 식별했다. 배터리의 기계적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팽창 또는 수축을 방지하려면 배향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TMA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 change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eparator in two different directions with TMA 450 film/fiber probe were recorded. The separator in the X-direction showed thermal shrinkage onset at 136˚C while no thermal shrinkage was observed in the Y-direction. The CTE value in X-direction is 22.39 μm/m˚C while CTE value in Y-direction is 107 μm/m˚C. The significant difference measured i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n the two directions indicates an orientation effect in the separator.

열폭주로 이어지는 열 이벤트는 무엇일까?

배터리의 열폭주 과정에 대해 남아있는 의문이 있지만, 현재까지 파악한 바로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이벤트에 의해 열폭주가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열폭주로 이어지는 발열 반응은 배터리 온도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리튬 이온 배터리(LIB)의 모든 내부 구성 요소와 파괴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일부 요소는 초기에 피해를 입지만, 대부분의 요소는 고장을 일으키면서 열 축적을 직접 가속화한다.
맨 처음 파손되기 시작하는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약 80~120°C(176~248°F)에서 문제가 시작되는 SEI(Solid-Electrolyte Interphase, 고체 전해질 계면상)이다. 이 시점에서 열폭주가 느려질 수 있지만 애노드가 일단 전해질에 노출되고 나면 더 이상 되돌릴 수 없다. 반응성 애노드 표면에서 발생하는 발열 반응으로 다음 임계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스템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진다.
그다음으로 영향을 받는 구성 요소는 분리막으로, 두 단계에서 정상 작동에 실패한다. 약 120~150°C(248~302°F)에서 분리막이 녹기 시작하여 작은 단락이 발생하고, 이어 220~250°C(428~482°F) 근처에서 분리막이 분해되면 더 심각한 내부 단락이 발생한다.
다음 반응은 이전 온도 범위에 따라 빠르고 직접적으로 발생하는데, 캐소드 재료, 바인더, 전해질이 모두 분해되기 시작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약 800°C(1,472°F)까지 급격히 상승한다. 이러한 반응에는 LIB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스 생성물이 있다.
빠른 열 생성과는 별개로 캐소드 반응은 재앙적인 부산물로 가연성 산소를 생성한다. 정확한 조건에 따라, 그 즉각적인 결과는 “열 + 산소 = 화재” 또는 “열 + 가스 = 파열/폭발”이다. 물론, 모든 재료가 똑같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범위보다 다소 높거나 낮은 온도, 심지어 미래에는 이러한 온도를 벗어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테스트를 통해 해당 배터리를 위해 가능한 가장 안전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흑연 애노드 재료의 열 불안정성을 강조 표시한 TGA 온도 기록도

열폭주를 피하고 최적의 열 내성을 가진 배터리 재료를 선택하기 위해, 배터리 연구원들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 및 열중량 분석(TGA) 기술을 선택한다.

DSC: DSC는 재료로 들어오거나 재료에서 나가는 열류를 온도 또는 시간의 함수로 측정한다. 그래프 출력에서 볼 수 있는 상변화 발생 시 온도 변화와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열 사이의 열용량 관계가 중단된다. 안전한 작동 온도부터 열 남용까지의 다양한 조건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

TGA: TGA는 온도 또는 시간의 함수로 샘플의 질량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열 안정성이 더 높은 재료는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한 후에 질량 변화가 발생한다.

 

DSC의 결과로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 재료의 용융 온도, Tm
  •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Tg
  • 배터리를 구성하는 다양한 재료의 가장 낮은 상변화 온도.
TGA의 결과로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 재료가 분해되기 시작하는 온도.
  • 주어진 온도에서 열 분해 또는 산화 분해로 손실된 샘플 질량의 양.
  • 주어진 온도에서 분해 반응(산화성 유도 분해와 열 유도 분해 모두 해당)의 속도.
  • 배터리를 구성하는 다양한 재료의 최대 열 안정 온도.

배터리 재료 테스트 요구 사항에 대해 논의하려면 당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